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통화 정책 - 기준 금리와 통화 공급량 통화 정책 통화 정책은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량과 이자율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는 정책입니다. 통화 공급량은 경제에서 총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화 공급량을 늘리면 경제에 유입되는 자금이 많아지고 대출이 쉬워져 경기 부양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화 공급량을 늘릴 경우 인플레이션 위험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통화 공급량을 줄이면 돈을 빌리기 어렵게 되고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 조정과 양적완화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기준금리 조정은 중앙은행이 대출금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기준금리를 낮추면 대출금리가 하락하고, 대출이 .. 2023. 2. 20.
수요의 법칙, 공급의 법칙, 시장의 균형 시장, 수요와 공급의 정의 수요와 공급을 이해하기에 앞서 시장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시장이라고 하면 흔히 마트, 슈퍼마켓을 떠올리는데 그렇게 생각해도 괜찮습니다. 경제학에서 시장(market)이란 특정한 재화나 서비스를 사거나 파는 개인들의 모임을 뜻합니다. 하나의 집단으로서 구매자들은 상품에 대한 수요를 결정하고, 판매자들도 하나의 집단으로서 상품의 공급을 결정합니다. 시장에서 판매자들이 다수일 경우 경쟁이 발생합니다. 경쟁이란 재화를 판매하기 위한 판매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입니다. 경쟁이라는 말에 시장을 더한 경쟁시장(competitive market)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다수이어서 개별 소비자나 판매자가 시장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시장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수요와.. 2022. 10. 11.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과 상관성 인플레이션 1. 거시경제학 경제학은 크게 보면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난번에 다뤘던 미시 경제학과, 이번에 얘기를 거시경제학이 두 개의 큰 축입니다. 미시경제학이 나무를 탐구하는 학문이라면, 거시경제학은 나무가 아닌 숲 전체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거시경제학은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결과를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통해 국가의 국민소득, 물가, 실업, 환율, 국제수지 등 실물경제의 전반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국가뿐만 아니라, 국가와 국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경기 변동, 경제 성장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즉,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변수들 간의 서로 관련성, 국민소득의 변화를 설명하는 .. 2022. 10. 10.
미시경제학 - 현대 주류경제학 1. 미시경제학이란 거시경제학과 더불어 현대 주류경제학을 이루는 하나의 분야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개인 사이의 거래, 가계와 기업 등의 개별 경제주체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거래량 등을 분석합니다. 또한, 시장 구조의 모형을 분석하여 시장 구조의 균형점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연구하고 설명합니다. 애덤 스미스의 유명한 말인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 구조를 설명하는 미시경제학에서 나온 것입니다. 미시경제학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진행되었습니다. 다만, 현대에 이르러 체계적으로 분석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앨프리드 마셜(A. Marshall)에 의해서였고, 이때 경제학을 신고전파 경제학이라고 말합니다. 이후에 폴 새뮤얼슨(P. Samuelson) 등의 일련의 .. 2022. 10. 5.
경제학이란 - 경제적 인간 경제학이란? 경제학이란 한정한 자원을 소비하는 것에 대한 학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정된 자원에 대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생산하고, 소비하는가를 연구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특히 생산, 소비, 분배 자원 및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연구합니다. 인간의 욕구는 끝이 없는데, 그 욕구를 충족시킬 자원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경제학에서는 ‘자원의 희소성’이라고 합니다. 세상의 모든 자원은 부족하고 희귀하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은 소비하고 싶은 재화, 물건은 많은데 그 자원이 한정적이므로 행동에 제약이 생기게 됩니다. 만약, 재화가 무한정하거나 사람들의 욕구가 없다면 경제학이 존재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물, 토지, 그리고 돈 등 우리가 필요로 하는 자원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은 어떻게.. 2022. 10. 3.